커피먹는잠만보의 엑셀과 미니탭31 실험계획법의 잔차 분석, 표준화 잔차를 사용하는 이유? 실험계획법(Design of Experiments, DOE)처럼 철저히 통제된 실험 환경에서는 보통 표준화 잔차(Standardized Residual)를 확인하는 것으로 충분하고, 그게 일반적인 권장 방식입니다. 왜 그런지 조금 더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왜 통제된 실험(DOE)에서는 표준화 잔차를 주로 사용하는가?1. DOE는 설계 자체가 균형 잡혀 있고 오차가 작다DOE는 실험 조건이 미리 설계된 조합(직교, 균형설계 등)으로 구성됨실험 환경도 보통 노이즈 요인을 통제하거나 블로킹 처리함즉, 잔차의 분산이 작고 일정하다는 전제가 잘 만족됨→ 이럴 땐 전체 MSE를 기준으로 표준화한 잔차도 신뢰도가 높음2. 단순한 이상치 진단보다 전체 패턴 확인이 더 중요DOE에서는 "어떤 인자가 반응에 영향을 주는.. 2025. 7. 6. 실험계획법을 배우기 전, 기초 통계를 먼저 배우는 이유는?(가설검정, 분산분석, 회귀분석) ✅ 실험계획법을 배우기 전, 왜 통계 기초를 먼저 배울까?1️⃣ 실험 결과는 “숫자(데이터)”로 나온다실험을 하면 측정값(반응변수)이 나와 → 결국 수치 데이터를 분석해야 해.이 데이터를 보고 이 변화가 의미가 있나?”를 판단하려면,👉 통계적 분석 도구가 필수야.2️⃣ 분산분석(ANOVA)은 DOE의 핵심 분석 도구DOE에서는 여러 요인의 조합을 실험하고 나서,“어떤 요인이 결과에 영향을 주었는가?”“그 차이가 우연인지 진짜인지?”를 판단하는데, 이걸 바로 분산분석이 해줘.예: A, B, C라는 인자가 있을 때 → A가 반응에 유의한가?실험계획표에서 요인별 p값을 확인하는 것도 전부 ANOVA 기반이야.3️⃣ 회귀분석은 DOE에서 수식 모델을 만드는 도구DOE의 목적 중 하나는 수학적 모델링이야:예:반.. 2025. 7. 3. 실험계획법 배경지식 - 회귀분석의 절차와 공선성 진단이란? 회귀분석은 단순히 수식 하나 뽑는 게 아니라 일련의 절차를 체계적으로 밟아야 신뢰할 수 있는 모델이 만들어져.그리고 공선성(multicollinearity) 진단은 회귀분석의 핵심 중 하나야. 아래에서 전체 절차부터 차근차근 설명해줄게.✅ 회귀분석의 일반적인 절차 (실무 중심 정리)단계설명1. 문제 정의분석 목적을 명확히 함 (예: 불량률 줄이기, 두께 예측 등)2. 변수 선정 및 데이터 수집종속변수(Y)와 설명할 독립변수(X들)를 정하고, 데이터를 수집3. 데이터 정제 및 탐색결측치, 이상치 처리 및 시각화로 변수 간 관계를 탐색4. 회귀모형 설정단순/다중/로지스틱 회귀 중 적절한 분석방법 선택**5. 📌 공선성 진단독립변수 간 중복성이 심한지 확인 →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6. 가정 검토선형성, 독립.. 2025. 7. 3. 실험계획법 배경지식 - 회귀분석이란? 회귀분석(回歸分析, regression analysis)은 어떤 변수(종속변수, Y)가 다른 변수들(독립변수, X들)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수학적으로 모델링하는 통계 기법이야. 쉽게 말하면,“X가 변할 때 Y는 어떻게 변하느냐?”를 분석하는 거야.📌 예시로 쉽게 설명해볼게:질문: 공부시간이 늘면 시험점수도 높아질까?✅ 종속변수 (Y): 시험 점수✅ 독립변수 (X): 공부 시간이럴 때, 여러 학생의 데이터를 모아서시험점수 = a + b × 공부시간이런 식의 직선 관계식을 만들 수 있어.여기서 b는 공부 시간이 1시간 늘어날 때 점수가 얼마나 오르는지를 의미하고a는 공부를 하나도 안 해도 얻는 기본 점수(절편)를 의미해. 📊 회귀분석의 주요 목적:회귀분석의 사용 목적은 데이터를 통해 변수 간의 관계를 파.. 2025. 7. 3. 이전 1 2 3 4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