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설검정 개념으로 실험계획법의 x 잠재인자의 y특성치에 대한 유의성을 p값으로 판단할 때 p값이 0.05보다 작아서 유의하다는 의미는 대립가설을 채택하는 것일까? 그래서 해당 x 변화에 따라 y값이 같다고 할 수 없다라고 말하는 것일까?
✅ P값이 0.05보다 작다 → 유의하다의 의미는?
“귀무가설(H₀)을 기각한다.” → 즉, 대립가설(H₁)을 채택하는 것입니다.
---
✅ 실험계획법(DOE)에서의 해석
✔️ 귀무가설(H₀):
“X 인자의 수준 변화에 따라 Y는 변화 없다.”
즉, “X는 Y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대립가설(H₁):
“X 인자의 수준 변화에 따라 Y가 변화한다.”
즉, “X는 Y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
---
✅ P값 기준 해석
P값 판단 해석
< 0.05 귀무가설 기각 X의 변화에 따라 Y는 같지 않다 → X는 Y에 유의하다
≥ 0.05 귀무가설 채택 (기각 못함) X의 변화에 따라 Y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르다고 할 수 없다
---
✅ 🔥 결론적 표현
✔️ P < 0.05 → X는 Y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다.
→ “X의 수준에 따라 Y의 평균값은 서로 같지 않다.”
✔️ P ≥ 0.05 → X는 Y에 유의미한 영향이 없다.
→ “X의 수준 변화에 대해 Y의 평균값은 같다고 볼 수 있다.”
---
✅ 구체적인 예시로 이해해보기
> 🔋 배터리 코팅 속도(X) → 코팅 두께(Y)
귀무가설(H₀): “코팅 속도 변화에 따라 두께는 같다.”
대립가설(H₁): “코팅 속도 변화에 따라 두께는 다르다.”
▶️ 실험 결과 → P값 = 0.012 (0.05보다 작음)
결론 → “코팅 속도는 두께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
즉 → “코팅 속도 변화에 따라 두께가 같다고 할 수 없다.”
---
✅ ✔️ 자연스럽게 쓰는 표현 정리
"P값이 0.05보다 작으므로 X는 Y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
"즉, X의 수준 변화에 따라 Y는 통계적으로 같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X는 공정 최적화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인자다."
---
✅ 한 줄 요약
> “P < 0.05 → 대립가설 채택 → X의 변화에 따라 Y는 같다고 할 수 없다.”
'커피먹는잠만보의 엑셀과 미니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험계획법 배경지식 - 회귀분석의 절차와 공선성 진단이란? (2) | 2025.07.03 |
---|---|
실험계획법 배경지식 - 회귀분석이란? (0) | 2025.07.03 |
다구찌법 S/N비 신호 대 잡음비란? 평균과 산포까지 관리! (0) | 2025.06.29 |
다구찌법 품질손실함수란? 양품이 다가 아니야! (0) | 2025.06.29 |
실험계획법 DOE 반응표면법(RSM) 중심합성설계의 핵심 구성요소 축점/요인점/중앙점이란? (0) | 2025.06.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