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커피먹는잠만보의 엑셀과 미니탭

실험계획법DOE에서 통계적가설검정 활용(X인자의 Y특성치에 대한 유의성)

by 커피먹는잠만보 2025. 6. 29.




가설검정 개념으로 실험계획법의 x 잠재인자의 y특성치에 대한 유의성을 p값으로 판단할 때 p값이 0.05보다 작아서 유의하다는 의미는 대립가설을 채택하는 것일까? 그래서 해당 x 변화에 따라 y값이 같다고 할 수 없다라고 말하는 것일까?


✅ P값이 0.05보다 작다 → 유의하다의 의미는?

“귀무가설(H₀)을 기각한다.” → 즉, 대립가설(H₁)을 채택하는 것입니다.

---

✅ 실험계획법(DOE)에서의 해석

✔️ 귀무가설(H₀):

“X 인자의 수준 변화에 따라 Y는 변화 없다.”

즉, “X는 Y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대립가설(H₁):

“X 인자의 수준 변화에 따라 Y가 변화한다.”

즉, “X는 Y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

---

✅ P값 기준 해석

P값 판단 해석

< 0.05 귀무가설 기각 X의 변화에 따라 Y는 같지 않다 → X는 Y에 유의하다
≥ 0.05 귀무가설 채택 (기각 못함) X의 변화에 따라 Y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르다고 할 수 없다

---

✅ 🔥 결론적 표현

✔️ P < 0.05 → X는 Y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다.
→ “X의 수준에 따라 Y의 평균값은 서로 같지 않다.”

✔️ P ≥ 0.05 → X는 Y에 유의미한 영향이 없다.
→ “X의 수준 변화에 대해 Y의 평균값은 같다고 볼 수 있다.”


---

✅ 구체적인 예시로 이해해보기

> 🔋 배터리 코팅 속도(X) → 코팅 두께(Y)

귀무가설(H₀): “코팅 속도 변화에 따라 두께는 같다.”

대립가설(H₁): “코팅 속도 변화에 따라 두께는 다르다.”


▶️ 실험 결과 → P값 = 0.012 (0.05보다 작음)

결론 → “코팅 속도는 두께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

즉 → “코팅 속도 변화에 따라 두께가 같다고 할 수 없다.”


---

✅ ✔️ 자연스럽게 쓰는 표현 정리

"P값이 0.05보다 작으므로 X는 Y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

"즉, X의 수준 변화에 따라 Y는 통계적으로 같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X는 공정 최적화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인자다."



---

✅ 한 줄 요약

> “P < 0.05 → 대립가설 채택 → X의 변화에 따라 Y는 같다고 할 수 없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