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블완4

리륨이온배터리 BOL, MOL, EOL 단계별 리튬석출 현상의 주된 요인은? 리튬이온배터리(Lithium-Ion Battery)에서 BOL, MOL, EOL과 석출 현상은 배터리의 수명과 성능 변화에 밀접하게 관련된 개념이다.1. BOL (Beginning of Life)배터리의 초기 상태를 의미한다.제조 후 첫 사용 시점으로, 배터리가 최대 용량과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상태이다.이 단계에서는 내부 물리적·화학적 결함이 거의 없으며, 충방전 효율이 최적화되어 있다.2. MOL (Middle of Life)배터리가 어느 정도 사용된 상태로, 초기 성능(BOL) 대비 저하가 발생하지만 여전히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단계이다.MOL 단계에서 용량과 성능 저하의 주요 원인1) SEI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층이 전해질과 리튬 금속의 반응으로 인해 생성된다... 2024. 11. 27.
마라톤 케이던스란? 180 BPM 언급되는 이유가 뭘까? 마라톤에서 케이던스(Cadence)란, 1분 당 발이 지면에 닿는 횟수를 말한다.보통 한 발 기준으로 측정하며, 분당 걸음 수(SPM, Strides Per Minute)라고도 한다.예를 들어, 한 발로 90회를 딛는다면 양발 기준으로는 180회가 된다. 이 수치가 러닝에서 흔히 언급되는 "케이던스 180"이다.마라톤에서 러닝 케이던스(분당 걸음 수, 또는 보빈도) 180이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이유는 효율성과 부상의 감소에 크게 기여하기 때문이다. 이 수치는 과거 연구와 엘리트 러너들의 데이터에서 관찰된 공통적인 특징으로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다[케이던스180의 특장점]1.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보폭을 줄이고 케이던스를 늘리면 착지 시 몸에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한다.큰 보폭은 발이 몸 앞에 닿아 브레이크 .. 2024. 11. 27.
마라톤 장거리 LSD훈련 이후엔 휴식과 회복러닝을 풀코스 마라톤 완주를 위한 훈련을 좀 더 체계적으로 진행하고자 마라톤 프로그램을 실천해보고 있다.[일요일 장거리 LSD 훈련]일요일엔 장거리 훈련으로 12-13km 를 천천히 달리며 거리를 늘렸다. 9월말 하프 마라톤 완주 이후 10km 이상 달리는 것은 처음이라 최초 목표였던 14km에 조금 못 미치는 거리를 채우고 멈췄다. 정강이 통증도 느껴져 무리하지 않기로 했다.처음 5-6km를 7분 페이스로 천천히 뛰며 몸이 예열됐고 그 이후부터는 딱히 애쓰지 않아도 페이스가 점점 빨리졌다. 오히려 일부터 천천히 달리려고 했다.[휴식]장거리 LSD훈련 바로 다음날엔 종아리 및 고관절 스트레칭으로 휴식을 취했다. [회복주]오늘은 회복러닝으로 가볍게 6-8km를 조깅하려고 나섰다.일요일 장거리 훈련 때 왼쪽 새끼발.. 2024. 11. 26.
배터리 제조공정 DLD 더블레이어 코팅이란? 더블 레이어 코팅 (Double Layer Coating, DLD)은 리튬이온 배터리 전극 제조 과정에서 전극 표면에 두 개의 다른 층을 코팅하는 방법이다. 이 코팅 기법은 배터리의 성능과 수명을 개선하고 특정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더블 레이어 코팅의 목적과 장점1. 성능 향상: 더블 레이어 코팅은 서로 다른 성질의 층을 적용하여 전기화학적 반응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내구성과 전도성이 더 높은 층과, 이온 전달 특성이 좋은 층을 결합하여 배터리의 성능을 극대화한다.2. 내구성 강화: 첫 번째 층은 전극 활물질과 집전체 간의 기계적 결합을 강화하고, 두 번째 층은 외부 충격이나 열적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3. 균일한 전극 구조: DLD 코팅은.. 2024. 1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