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부동산 투자 시 유동성 확인하는 방법, M1 : M2 통화량 확인하는 법

by 커피먹는잠만보 2023. 9. 11.

아래 경제 뉴스처럼 시중에 풀린 돈, 유동성이 풍부하면 부동산 및 금융자산으로 돈이 몰린다는 뉴스를 자주 접합니다.

이때 유동성을 정량적으로 확인하는 지표로 자주 언급되는 경제 용어는 M1, M2 통화량으로 이를 말합니다. 

일반인에게 M1, M2 통화량이라는 용어는 낯설어 관련 경제 기사/뉴스가 더 어렵게 다가오는게 현실입니다.

 

오늘은 통화량의 개념에 대해 정리하고 직접 M1, M2 통화량 통계 사이트에서 조회하고

이 데이터를 활용해 부동산 투자에 적합한 시기인지를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통화량의 개념입니다.

1. 통화량(유동성) 정의 M1(협의통화), M2(광의통화)

구분 정의
M1(협의통화) 현금 및 언제라도 현금화 가능한 수시입출식 예금
M2(광의통화) M1협의통화 보다 넓은 범위
이자소득을 포기하면 언제든 인출 가능한 통화까지 포함

부동산이든 주식이든 투자자로서 주목해야 하는 통화량은 바로 현금화가 가능한 M2 광의 통화량입니다. 

쉽게 말해서, M1은 현금, M2는 현금 + 예/적금 정도로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M1, M2에 대한 시계열 자료는 한국은행 경제시스템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한국은행 경제시스템 통계자료를 통해 M1, M2 비율 확인하고 차트 그리는 방법

우측 링크를 통해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사이트에 접속해주세요.

 

그런 다음 [테마별통계] > [100대 통계지표] > [통화량] 탭에서 M1, M2 통화량을 각각 조회할 수 있습니다.

1) M1협의통화 평잔

M1 즉, 현금은 시장에서 22년 9월을 기점으로 줄어들기(마이너스) 시작했습니다.

2) M2광의통화 평잔

광의통화 즉, 현금+예/적금은 아직 증가하고 있지만 그 증가폭이 빠르게 줄어들고 있습니다.

 

3) M1/M2 비율 구하기

M1, M2비율을 구하기 위해 각각의 rawdata를 다운 받아주어야 합니다.

rawdata는 [통계검색] > M1 상품별 구성내역(말잔, 원계열), M2 상품별 구성내역(말잔, 원계열)을

[목록에 추가] 버튼을 눌러조회할 통계목록으로 넣어줍니다.

 

이제 [선택한 목록 조회]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됩니다.

여기서 평잔, 말잔의 의미는 평균과 월말의 통화액을 말합니다.

평잔으로 확인하여도 큰 차이는 없으나 가장 최신 기준으로 확인하기 위해 월말의 말잔으로 확인하였습니다.

조회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결과창으로 넘어갑니다.

여기서도 한번 더 조회하고자 하는 기간을 선택하고 조회 버튼을 눌러 최종 데이터를 내려받습니다.

저는 92년 부터 현재까지 23년 6월 최신 통계까지 조회를 해봤습니다.

엑셀(숫자서식)로 내려받은 뒤 파일을 열어줍니다.

노란색으로 제가 색칠한 영역이 M1, M2 통화량의 월별 총계입니다.

나머지 항목은 M1, M2를 구성하는 각 항목들의 통화량입니다.

필요한 M1, M2 통화량의 총합을 가지고 M1/M2 비율을 구해주겠습니다.

혹시 여기까지 읽으신 분들은 엑셀에서 기본 기능은 사용하실 줄 아는 걸로 생각하지만

노파심에서 수식 입력창을 캡처로 공유드립니다.

 

M1/M2 비율을 표시할 빈 셀에 아래와 같이 등호를 붙이고

M1(E2), M2(E6)가 입력된 셀 주소를 나누기(/) 해주고 ENTER로 마무리합니다.

"=E2/E6" 

그런 다음 수식이 입력된 셀 테두리 좌측하단의 꼭짓점 부분으로 마우스 커서를 갖다 대고 

십자가(+) 모양으로 마우스 커서 모양이 바뀌었을 때, 해당 십자가를 잡아끌어 23년 6월 열이 있는 곳까지 

자동핸들 채우기를 합니다.

그런 다음 M1/M2 비율의 평균을 Average 함수로 구해줍니다.

=average($E$23:E23)

그런 뒤 앞서했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23년 데이터까지 자동핸들 채우기 합니다.

자 이제 데이터 가공은 끝났습니다.

차트를 그려주겠습니다.

X축은 시간축이니 날짜 범위를 지정해 줍니다.

ctrl 키를 누른 채로 M1/M2 비율과 평균을 범위 지정해 줍니다.

그런 다음 [삽입] 탭 > [추천차트] > 묶은 세로 막대형 차트를 삽입해 줍니다.

불필요한 눈금선과 범례는 삭제해 주면 아래와 같은 M1/M2 비율 시계열 차트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23년 6월 기준의 최신 M1/M2 비율은 32%로 사상 최고치였던 21년 38%에 비해서는 6%나 내려갔습니다.

(참고로 M1/M2 비율이 높을수록 시중에 유동성이 풍부하다는 뜻입니다.)

양적완화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다 금리를 인상하여 시중에 풀린 돈을 회수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그렇지만 92년-현재까지의 평균 M1/M2 비율인 29% 대비 여전히 높은 상태입니다.

다만 M1/M2 rawdata의 최신본이 현재 기준인 9월이 아니라 6월 기준이라 

유동성이 풍부한지, 부족한지를 먼저 체크하고

이와 연계하여 자산 부동산 혹은 주식 등 자산으로 돈이 몰리는지 빠지는지

파악해 보는 용도로 참조하면 좋을 것입니다.


3. M1, M2 비율과 집값의 상관관계가 있을까?

제가 거주하는 대전의 매매지수/전세지수와 M1/M2 비율과 한번 연관이 있는지 확인해보았습니다.

매매지수/전세지수 data는 KB부동산 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하였습니다.

당월 M1/M2비율이 누적 평균 M1/M2 비율 보다 높다고 해서 매매지수가 올라간 것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M1/M2 비율이 높다는 것은 시중에 돈이 계속 풀리고 있다고 볼 수 있고

따라서 인플레이션으로 돈을 먹고 부동산도 장기적으로는 상승한다고 볼 수 있을 것 입니다.

이상 한국은행 경제통계사이트를 통한 M1, M2 통화량의 의미 이해와 M1/M2 비율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꼭 직접 해보시기를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1. KB부동산 시계열 데이터로 부동산 흐름 스터디 하는 방법

 

KB부동산 시계열 자료로 부동산 흐름 공부 하는 법(엑셀차트 그리기)

우리는 목돈이 모이게 되면 부동산 투자를 고려하게 됩니다. 그렇지만 부동산 투자가 망설여지고 어렵게만 느껴지는 이유는 바로 부동산 시황 분석을 할 줄 모르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부동산

mookstory.tistory.com

댓글